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6.25전쟁 참전국 주한외교단 대상 장관 오찬사

작성일
2024-06-26 11:13:17
조회수
631

Remarks by H.E. Cho Tae-yul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at a Luncheon in Honor of Na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June 25, 2024



Good afternoon, Ladies and Gentlemen.


It is a privilege to stand before you today as we mark the 74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74 years ago this very day, tens of thousands of North Korean soldiers poured across the 38th parallel, initiating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Not long after the War broke out, this very city –Daegu—also became a critical battleground as part of the frontline defending the Nakdong River Defense Line.


The Republic of Korea was able to survive back then because it was not alone. Freedom and democracy have endured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the nations you represent –nations from every continent– were there for us in our darkest hour.


And today, Korea honors the 22 nations and their veterans that stood with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War.


These 22 countries are:


The United States, Canada, Colombia from the Americas;

The United Kingdom, Türkiye, the Netherlands, Greece, Belgium, France, Luxembourg, Sweden, Denmark, Italy, Norway, Germany from Europe;

Australia, the Philippines, Thailand, New Zealand, and India from Asia and Oceania; And from Africa, Ethiopia and South Africa.


From these nations, a total of 1.95 million men and women in uniform took part in the War --forty thousand of whom made the ultimate sacrifice. 


Yesterday, I visited the UN Memorial Cemetery in Busan and paid tribute to the 2,328 souls from UN nations interred there. I take this opportunity to once again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to all participating countries and their Korean War veterans.


The vibrant democracy and dynamic economy that we see today in the southern half of the peninsula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ir precious sacrifice.


More than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rmistice.


There are two aspects worth highlighting today that have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those seventy years.


First,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its member states have continued to play a crucial role in deterring North Korea’s aggression.


Established under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4 in 1950 to repel North Korea’s invasion, the UNC remains to this day the paragon of international solidarity in defense of freedom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 oft-overlooked legacy of the War is the other Washington declaration that was adopted on the very same day that the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on July 27, 1953.


The 16 sending states whose militaries fought under one UN flag issued a Joint Declaration affirming that “if there is a renewal of armed attack,” the states will “again be united and prompt to resist.”


Today, the United Nations Command remains as relevant as ever in helping to address security challenges on the Korean Peninsula.


Second, North Korea’s unabating threat to peace and stability.


Pyongyang’s dispatch of balloons carrying filth and their jamming of GPS signals is the latest manifestation of North Korea’s ever-growing range of threats and provocations.


Those actions have caused real harm and endangered the lives of our people. There can be no freedom to endanger the lives of others. No one in their right mind hurls waste indiscriminately and calls it “freedom of expression” .


It is no wonder Pyongyang has yet to disclose those actions to its own people –the very people whose views are supposedly being expressed. Perhaps they were ashamed to let their people know how low they had to stoop.


Seoul has been calling on Pyongyang to return to the dialogue table, only to be met with a repudiation of one nationhood, rejection of the goal of unification, and a new label as its “No.1 adversary.”


Pyongyang’s quest to advance it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has been unrelenting. This year alone, North Korea has launched over 30 ballistic missiles including a so-called ‘military reconnaissance satellite’.


At the same time, the past year has also shown how North Korea’s threat is extending all the way to Europe through its military cooperation with Russia.


Pyongyang’s revitalized partnership with Moscow culminated in last week’s visit by the Russian leader to Pyongyang and the signing of Treaty on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It is an absurd exercise in hypocrisy to claim that their military cooperation is predicated on a preemptive attack from the outside. After all, it is those two countries that have a history of initiating wars of aggression: North Korea in 1950 and Russia in 2022.


We were reminded of Soviet complicity in North Korea’s invasion when the Russian leader recently stated that “Soviet pilots made tens of thousands of combat flights during the Korean War.” Now they are adding to that history the dubious distinction of openly disregarding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sanction resolutions.


The Republic of Korea will work closely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irmly address any action that violate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r threatens our security.


To counter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nd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we will further strengthen Korea-US extended deterrence and Korea-US-Japan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The port call by the US aircraft carrier USS Roosevelt in Busan is a visible demonstration of the US commitment to Korea’s security. I very much appreciated the warm hospitality that was extended to me during my visit to the ship yesterday.


I’m sure no one here needs any reminding that North Korea’s development of its military capabilities comes at the expense of the human rights of its own people. We would not be doing right by our fellow Koreans in the North if we dithered in pursuing our goal of bringing freedom and improv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Republic of Korea will continue to pursue a free and unified Korean Peninsula and we greatly appreciate the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se endeavors.


I hope you’ll forgive me for having dwelt so long on North Korea just before food is being served.


Let me close with the words inscribed on the Korean War Memorial in Washington DC – words that touch me to the core every time I read them: “Our Nation Honors Her Sons and Daughters Who Answered the Call to Defend a Country They Never Knew and a People They Never Met.”


Their noble sacrifices have not been in vain.

Today, having secured its democracy and grown its economy countless times over at home, Korea is actively seeking to assume greater roles and responsibilities to serve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for others around the world.


I wish to thank your nations and your veterans once again for helping to make all of this possible.  


Thank you. /END/



(비공식 번역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6.25전쟁 발발 74주년을 맞이한 오늘,

여러분 앞에 이렇게 서게 되어 영광입니다.


74년 전 바로 이 날,

수만여 명의 북한군이 38선을 넘어오면서

북한의 남침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쟁이 발발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지금 우리가 있는 이 대구도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하는 최전선의 중요한 격전지가 되었습니다.


그때 대한민국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혼자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이 가장 암울했던 시기에

오늘 대표로 참석해주신 모든 참전국가들이 우리와 함께 해주셨기에

한반도에는 자유와 민주주의가 지속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바로 오늘,

우리는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과 함께했던 22개 국가와 그 참전용사들에게 경의를 표하고자 합니다.


이 22개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미국, 캐나다, 콜롬비아;

유럽의 영국, 튀르키예, 네덜란드, 그리스,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스웨덴, 덴마크, 

이탈리아, 노르웨이, 독일;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의 호주, 필리핀, 태국, 뉴질랜드, 인도;

그리고 아프리카 대륙의 에티오피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입니다.


이들 국가에서 총 195만 명의 남녀 군인이 전쟁에 참전했으며

그 중 약 4만 명이 숭고한 희생을 치렀습니다.


저는 어제 부산 유엔기념공원을 방문하여

그곳에 안장된 2,328명의 유엔 참전국 영령을 추모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모든 참전국과 참전용사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한반도 남쪽의 활기찬 민주주의와 역동적인 경제는

그들의 귀한 희생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정전 이후 70여 년이 흘렀습니다만,

저는 지난 70년 동안 변함없이 지속되어 온 두 가지 사항을

오늘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유엔군사령부(UNC)와 회원국들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계속해 왔다는 것입니다.


1950년 유엔 안보리 결의 84호에 따라

북한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창설된 유엔사는

오늘날까지도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는 국제 연대의 모범이 되고 있습니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서명된 바로 그 날 함께 채택된

워싱턴 선언은 흔히 간과되고 있는 6.25전쟁의 유산입니다.

하나의 유엔 깃발 아래 참전한 16개 파병국은

“무력 공격이 재발하는 경우, 다시 단결하여

즉각 대항할 것”이라는 내용의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유엔사는 지금도 한반도의 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둘째, 평화와 안정에 대한 북한의 끊임없는 위협입니다.


최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와 GPS 신호 교란은

북한의 위협과 도발의 범위가 점점 더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입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우리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피해를 입히고

우리 국민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렸습니다.

다른 사람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릴 자유는 그 누구에게도 없습니다.

온전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오물을 무차별적으로 날리지 않을 것이며, 이를 “표현의 자유”라고 부르지도 않을 것입니다.


북한은 북한 주민들의 의사를 대변한다면서도

정작 그들에게는 이러한 행동들을 알리지 않고 있습니다.

아마도 그들은 자신들이 얼마나 수치스럽게 행동하고 있는지를

주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부끄러웠을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해 왔으나,

북한은 한민족과 통일이라는 목표를 거부하며

우리를 “제1의 적대국”이라고 규정하였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 노력은 지금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은 올해에만 소위 ‘군사정찰위성’을 포함하여

30발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나아가, 작년에는 북한의 위협이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을 통해

유럽까지 확장되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은 지난주 러시아 지도자의 평양 방문과

양국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로 정점에 달했습니다.


군사 협력이 외부의 선제공격을 전제로 한 것이라는

그들의 주장은 터무니없이 위선적인 것입니다.

침략 전쟁을 일으킨 역사를 가진 것은

1950년 북한과 2022년 러시아의 사례가 보여주듯

다름 아닌 이 두 국가이기 때문입니다.


“6.25전쟁 중 소련 조종사들이 수만 번의 전투 비행을 했다”는

러시아 지도자의 최근 발언은 북한의 남침에 소련이 가담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이제 그들은 유엔 안보리의 여러 결의까지 공개적으로 무시하는 전력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거나

우리 안보를 위협하는 모든 행위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한미동맹의 확장억제와 한미일 3국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미국 항공모함 루즈벨트함의 부산 기항은

대한한국의 안보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어제 루즈벨트함을 방문했을 때

저에게 베풀어주신 따뜻한 환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북한의 군사력 발전은 북한 주민의 인권을 희생하는 대가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여기 계신 모든 분들이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북한에 있는 우리 동포들을 위한다면 북한의 자유와 인권 개선이라는

목표를 추구하는 데 흔들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앞으로도 자유롭고 통일된 한반도를 추구해 나갈 것이며,

이러한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음식이 나오기 직전에

북한에 대해 너무 오래 언급했던 것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읽을 때마다 가슴이 뭉클해지는 워싱턴 DC의

6.25전쟁 기념관에 새겨진 글귀로 마무리하겠습니다.

“그들이 전혀 알지 못했던 나라와 결코 만나보지 못했던 사람들을

지켜내기 위한 부름에 응답한 우리의 아들과 딸들을 기립니다.”


그들의 숭고한 희생은 헛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민주주의를 지켜내고 경제를 성장시킨 한국은

이제 전 세계의 자유와 평화, 번영을 위해

더 큰 역할과 책임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일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신

모든 참전국과 참전용사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끝.